정부가 보행약자 보호와 함께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을 강화하는 정책을 본격 추진한다. 행정안전부는 ‘2025년 국가보행안전 및 편의증진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보행환경 개선과 더불어 자전거 도로 정비, 개인형 이동수단(PM) 안전 관리 강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실행계획에서는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를 제거하고, 보다 안전한 주행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가 혼재된 도로를 정비하고, 보다 명확한 자전거 전용도로를 확대할 계획이다.
도심 내 자전거 이동이 원활하도록 자전거 도로 연결성을 개선하고, 위험 요소가 많은 구간의 보완 공사를 진행한다. 그리고 차량의 우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자전거 사고를 줄이기 위해 우회전 신호등 설치를 확대하고, 교차로 횡단보도의 위치를 조정한다.

전기자전거와 전동킥보드 등 PM 이용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개인형 이동수단 안전 및 이용활성화에 관한 법률’ 제정을 추진한다. PM의 무분별한 주행과 불법 주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차구역 확대 및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 구축이 포함될 예정이다.
정부는 보행약자 보호 정책과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함께 추진하여 안전한 교통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보행 신호 자동 연장 시스템을 확대하여, 자전거 이용자들도 신호 부족으로 급하게 건너야 하는 상황을 줄인다. 교통 약자가 많은 지역의 횡단보도를 더 넓히고, 속도 저감 시설을 추가 설치하여 안전성을 높인다. 그리고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자전거와 보행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보도 신설, 스마트 횡단보도, 차량 방호울타리를 확대 설치한다.보호구역 내 자전거 도로를 명확히 구분하여 어린이 자전거 이용자의 사고 위험을 줄인다.

정부는 보행자뿐만 아니라 자전거 이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시 공간을 개선할 방침이다. 차로 폭을 줄이고 보행로를 넓히는 정책과 함께 자전거 도로를 체계적으로 정비하여, 도심 내 자전거 이동이 더욱 원활해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농촌 지역과 해안가에 자전거 도로, 산책로, 친환경 관광 인프라를 확대하여 자전거 여행객들이 더욱 안전하게 라이딩할 수 있도록 개선할 예정이다. 그리고 자전거 안전수칙, 올바른 주행법 등에 대한 교육 콘텐츠를 제작 및 배포하여 자전거 이용자들의 안전 의식을 높인다. 농어촌 및 도서 지역에서도 찾아가는 자전거 안전 교육을 진행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이 자전거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한경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자전거 이용자와 보행자가 함께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교통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목표”라며, “자전거 도로 정비와 개인형 이동수단(PM) 관리 강화를 통해 친환경 교통수단으로서의 자전거 이용을 더욱 활성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정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자전거 이용자들의 안전성이 높아지고, 자전거가 보다 효율적인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은규 기자 codeplu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