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전거·전동킥보드 재활용 활성화… 환경부, 민관 협력 시범사업 추진

환경부가 전기자전거와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전동 이동장치(e-모빌리티)의 회수·재활용을 위한 시범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를 위해 한국환경공단, 한국전기이륜형자동차협회,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이하 이순환거버넌스)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2월 12일 경기도 용인시 수도권자원순환센터에서 진행됐다.

e-모빌리티 재활용, 왜 필요한가?

전기자전거와 전동킥보드는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 등의 복합 소재로 제작되어 있어 재활용이 어려운 제품으로 꼽힌다. 특히 배터리만 선별적으로 재활용되는 경우가 많아 나머지 부품은 폐기되는 현실이다. 이에 따라,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전기자전거(약 25kg 기준) 약 14만 대를 재활용하여 철, 알루미늄 등 약 3,400톤의 유가자원을 회수할 계획이다.

그럼 어떻게 운영될까?

이번 협약을 통해 전국 200여 개 판매대리점 및 물류센터가 e-모빌리티 수거 거점으로 지정된다. 이후 이순환거버넌스가 보유한 200여 대의 폐전기전자제품 운반 차량을 활용하여 무상 회수하고, 이를 재활용하는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정부 역시 적극적인 지원에 나선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이번 시범사업을 전기전자제품 생산자책임재활용(EPR) 제도의 실적으로 인정하는 등 법적·제도적 지원을 마련하기로 했다.

환경 보호와 자원순환 효과 기대

이번 사업은 단순한 폐기물 처리 방식이 아니라, 자원순환과 친환경적인 도시 교통수단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이병화 환경부 차관은 “개인형 전동 이동장치 등 새로운 유형의 폐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민관 협력을 확대할 것”이라며, “향후 전기전자제품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의 대상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법과 제도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수거 거점 위치 및 배출 방법 등 구체적인 정보는 이순환거버넌스 공식 홈페이지(e-cycle.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기자전거와 전동킥보드가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는 만큼, 지속적인 재활용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이번 시범사업이 성공적으로 정착될 경우, 향후 전기이륜차 등 다양한 이동수단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김필용 기자 codeplus@naver.com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