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가 운영하는 공유 자전거 ‘카카오 T바이크’가 지방 도시에서 연이어 철수하면서 지역 교통 공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 경남 창원에서 서비스가 중단되었으며, 최근 전북전주, 전남 광주와 경북 울산에서도 철수가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지방의 공유 자전거 사업 지속 가능성에 대한 논란이 다시금 불거지고 있다.
저조한 수익성 vs. 지역민 이동권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경영 효율화를 위해 지방 지역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축소하는 중 ”이라고 밝혔다. 지방 지역의 공유 자전거 이용률이 서울·부산 대비 30% 미만으로 낮아 사업 지속이 어렵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지역에서는 이에 대한 반발도 나온다. 카카오 T바이크가 대학생들의 등·하교, 버스 노선이 부족한 주거 지역과 역을 잇는 이동 수단으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전주시민 김모 씨(25)는 “버스 배차 간격이 긴 지역에서 카카오 T바이크는 유일한 대안이었다”며 철수를 아쉬워했다.
빈자리 메우려는 지자체와 스타트업
카카오 T바이크의 철수로 인해 일부 지자체는 공공 자전거 시스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경남 김해시는 2월부터 가야역사문화 관광지와 대중교통을 연계한 공유 전기자전거 ‘타고가야’ 서비스를 확대한다고 22일 밝혔다.
또한 창원시는 공공자전거 누비자가 2024년 정부혁신 최고‧최초 인증 분야에서 최초 인증패를 수상했으며, 올해 청년들의 복지증진 및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 ‘2025년 청년 누비자 이용요금 지원사업’을 실시하여 친환경 교통수단을 통한 청년이 머물고 싶은 지속 가능한 도시 환경을 만드는 데 노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방에서 공유 자전거 사업이 성공하려면 공공과 민간이 협력하는 모델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도시공학과 박모 교수는 “지자체가 자전거 거치 공간을 제공하고, 민간이 운영 기술을 접목하면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다”며 “대학 및 관광지와 연계한 수요 창출 전략도 고려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환경 단체들도 지속 가능한 교통수단 확보를 위해 정부 차원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촉구하고 있다.
지방 교통의 미래는?
카카오 T바이크의 철수는 단순한 사업 축소가 아니라, 지방 교통 인프라의 취약성을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다. 지방에서도 지속 가능한 교통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지, 공공과 민간의 협력이 그 해답을 쥐고 있다.
이은규 기자 codeplus@naver.com